무릎뼈 사이에 있는 연골은,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분사하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
외부 충격과 체중을 견디기 위해서는 어느정도 단단해야 하는데,
무릎 연골연화증은 연골이 비정상적으로 부드러워지면 점차 약해서 닳는 질환입니다.
무릎 연골 연화증은 상대적으로 무릎 근육이 약한 여성이 심하게 운동을 한다거나,
하이힐을 자주 신어 무릎에 압박이 가해지면서 이 질환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외부 충격이나 무릎의 반복적이 사용 그리고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증상으로는 가만히 있을 때는 무릎 통증이 거의 없으나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앉았다가 일어날 때
통증이 심해지며 주로 무릎 앞쪽 부근에 통증이 느껴집니다.
또한 무릎이 시큰시큰하며 움직일 때 딱딱 소리가 나기도하며 어딘가 걸린느낌이 들기도합니다.
무릎 연골 연화증이 증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방치하게 된다면,
연골 손상이 더욱 진행되어 무릎 퇴행성관절염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단을 위해서는 나이, 생활패턴, 통증 범위 등의 증상을 확인한 후 무릎 정렬과 간격 확인을 위하여
X-ray 검사가 필요하고, 필요한 경우 관절경 혹은 MIR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무릎 연골연화증은 연골 균열 정도에 따라서 충분한 휴식, 운동요법,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
보존적인 방법을 통하여 치료가 가능합니다.
보존적인 치료방법을 통해서도 호전되지 않고 더욱 악화될 경우에는 관절내시경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관절내시경 수술은 무릎에 최소절개를 통하여 관절경을 삽입하여 내부를 직접 보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병변을 진단함과 동시에 이물질과 손상된 연골을 정리하고 봉합해 주는 치료방법입니다.
합병증 및 감염의 위험도가 낮으며 흉터가 적으며 회복 속도가 빠른편 입니다.
무릎 연골연화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허벅지와 무릎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하며
쪼그려 앉는 자세나 양반다리 등 무릎에 안 좋은 자세는 피하는 게 좋습니다.
또한 체중이 1kg 늘 때마다 무릎에 가해지는 압력은 3~5kg 정도로 증가하기에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