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샌들이나 슬리퍼 등 발이 노출되는 신발은 보행 시 신체의 무게를 주로
전족부로 지탱하게 되어 엄지발가락에 과도한 힘이 실리게 되어
엄지발가락이 새끼발가락 쪽으로 휘어 뼈가 돌출된 상태를 무지외반증이라고 합니다.
족부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이기도 합니다.
무지외반증으로 발가락이 휘어 돌출된 부위가 신발의 자극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면 염증 및 통증이 발생합니다.
또한, 엄지발가락의 변형으로 인해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다른 발가락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심할 경우 탈구까지 발생합니다.
무지외반증은 여성 발병이 압도적으로 많은데 그 이유는 하이힐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남성 환자들도 키높이 깔창, 발볼이 좁은 구두를 즐겨 신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무지외반증 초기에는 크게 눈에 띄는 부분은 없고, 통증도 미미하여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체외 충격파, 주사 요법, 약물 치료, 발이 편한 신발 착용만으로도 통증을 줄일 수 있으나,
심한 변형의 경우 통증 심하고, 보행이 어려울 수 있어 이때는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수술적 치료는 튀어나온 뼈를 자르고, 변형이 생긴 뼈의 각도를 교정하는 절골술이 대표적입니다.
관절과 주변의 인대와 근육 등도 함께 바로잡아주기에 발 기능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무지외반증을 단순히 외관적으로 보기 안 좋다고 치부하면 안 됩니다.
우리 몸의 기둥인 발의 변형이 오게 되면 발목, 무릎, 허리 등에 연쇄적으로 병이 생길 위험이
높아지므로 방치하지 마시고, 보존적인 방법으로 치료가 가능할 때 미리 오셔 진단과 치료받으시길 바랍니다.
무지외반증을 예방 및 관리하면 볼이 좁거나 굽이 높은 신발을 피하며
본인의 발에 잘 맞는 운동화를 신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신발 굽이 한쪽만 자주 닳으면 닳는 부위 쪽으로
체중이 비교적 더 많이 실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