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후종인대 골화증 다른 질환과 헷갈릴 수 있습니다

by 디딤병원 2020. 9. 22.

후종인대골화증이란, 경추뼈를 지지해 주는 목뼈 뒤쪽 인대가 뼈처럼 단단히 굳어져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입니다. 

후종인대골화증 증상

초기에는 목덜미가 뻐근하고 불편한 가벼운 증상으로 시작하여 목 주변에 통증이 나타납니다.

이를 목디스크로 오인하는 경우가 있으나, 목디스크의 경우엔 목과 팔 등 상체에 통증이

나타나나 후종인대골화증의 경우엔 팔과 다리 등 전신에 통증이나 저린 증상이 나타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후종인대골화증의 증상으로 손발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지면 파킨슨병이나 뇌졸중을

의심하고, 손목이 뻐근한 경우에는 손목터널 증후군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외에도 신경 압박 정도 심해지면 손발이 저리고 근력과 감각이 저하되어

단추를 끼우거나 수저, 젓가락질하는 일상생활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증상을 방치하게 되면 경미한 외상과 경추의 과도한 시전에 의하여 보행장애, 배뇨나 배변장애가

나타나며 심한 경우 팔다리 마비까지 올 수 있습니다.

CT 또는 MRI 검사와 전문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질환을 확인하고, 치료방향을 세우시는 것이 좋습니다.

후종인대골화증의 경우 발생원인이 명확하지 않으나 주로 동양인에게 자주 나타나는 경향과

유전적 요인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발병률이 높으며 특히

40세 이후의 남성에게 비교적 많이 발생하여 더욱 주의하셔야 합니다.

 

후종인대골화증 치료

크게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후종인대골화증이 확인되었으나 증상이 없거나 척수 압박 정도가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등을 병행하여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러나 비수술적인 치료를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호전되지 않거나 척추관 침범이

심해 척수 압박 증상이 진행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보행장애 팔 또는 다리에 섬세한 운동장애가 있을 경우에는 수술적인 치료를 고려해보셔야 합니다.

치료를 받고 계시는 중이거나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목뼈 건강을 위해 바른 자세가 중요합니다.

잘못된 자세로 머리가 몸통 중심에서 벗어나게 된다면 목에 있는 근육과 디스크에 큰 부담이

가해집니다. 엎드려 책을 읽거나 누워서 핸드폰을 하는 등 행동은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후종인대골화증은 조기에 발견하기가 쉽지 않으나 조기에 발견한다면 충분히 치료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신경이 손상된 경우라면 회복하기에 어려움이 많습니다.

따라서 질환이 의심된다면 즉시 내원하여 정확한 검사와 내 상태에 맞는 치료방향을 세우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