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릎 연골 찢어짐, 무슨 질환일까요?

by 디딤병원 2021. 4. 12.

무릎은 몸통과 허벅지 부분을 지탱해 주는 부위로 걷고 뛸 수 있도록 돕는 부위입니다.

이런 무릎에 통증이 나타나면 이를 가볍게 여기고 시간이 지나면 알아서 치유되겠거니

그저 기다리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그러나 무릎은 우리 몸 전체에 비하여 면적이 작은 부분에 속하고 운동 범위가 큰 만큼

손상 또한 쉽게 일어나는 부위입니다.

오늘은 무릎 연골 찢어짐과 관련된 반월상연골파열이라는 질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월상연골로 불리는 이 연골은 무릎 관절면 사이에 위치합니다.

이는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과 같은 역할로 무릎 관절의 움직임을 도와주며

관절의 안정성에도 큰 도움을 줍니다.

무릎 연골 찢어짐과 같은 반월상연골에 손상이 나타난다면 무릎에 통증과 압통이 동반되고

무릎을 움직이는데 어려움이 생길 것 입니다.

손상이 극심할 경우 앉거나 일어나는 동작 그리고 양반다리를 하는 동작이 불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이를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X-ray 만으로는 확인이 어려워 MRI 촬영, 초음파를 통해 진단합니다.

 

반월상 연골 파열은 개인마다 파열되는 위치나 범위 그리고 양상이 다르기 때문에 개인 맞춤형 치료가

필요합니다.

초기에는 부종과 통증 완화 및 감소를 위해 부목, 석고붕대, 약물치료나 물리치료를 통해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파열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인 치료를 고려하셔야 합니다.

수술적 치료로는 관절내시경을 통해 수술을 진행합니다.

 

관절내시경은 최소 절개를 통하여 초소형 카메라와 기구를 넣어 병변을 모니터를 통해 직접 확인하며

무릎 연골 찢어짐을 절제하거나 봉합하는 수술을 진행합니다.

관절내시경은 세밀한 병변까지 눈으로 직접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습니다.

또한, 국소마취를 진행하기에 시술이 부담이 적고 흉터가 비교적 적고 출혈의 가능성도 낮아 안전하게

치료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미 손상된 반월상 연골의 경우 자연 치유되거나 스스로 재생되지 않습니다.

오래 방치하여 파열의 범위가 넓어지면서 퇴행성관절염을 빠르게 초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초기에 정형외과를 찾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초기에 내원하시게 되면 비교적 수월하게 증상의 호전을 기대하실 수 있습니다.

 

무릎관절은 여러 가지 조직에 의해 통증이 나타나는 원인이 다양합니다.

통증이 나타나면 반드시 전문의의 정밀검사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그에 맞는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반월상 연골 파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무릎의 과도한 사용을 피하시고 무릎을 꿇어앉는, 쪼그려 앉는

동작을 피하시며 걷기와 수영 그리고 스트레칭을 통해 무릎 주변의 근육을 키워 체중을 견딜 수 있는

힘을 기르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