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이나 손등, 손가락 등 손에 생기는 물혹,
이 결절종은 손목 관절의 관절막이 변형돼 부풀어 오르면서 생깁니다.
이 물혹의 크기는 1cm~5cm까지 사람마다 다양합니다.
대부분의 물혹은 통증이 없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간혹 욱신거리는 통증과 함께 손목에 무거운 느낌이 들 수 있으며
신경 혈관이 눌리면서 힘이 빠져버리는 증상도 나타납니다.
손목 결절종의 발생 원인으로 정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으나 외상이나
과도한 손목 사용으로 발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더불어 손목 관절이 약한 10~30대 젊은 여성들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결절종의 유무에 대한 진단은 촉진을 통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초음파, MRI, X-ray를 통해 검사할 수 있습니다.
이 검사는 결절종에 의하여 손목 관절에 다른 이상은 없는지, 손목 관절 내 다른 연부 조직에 이상을 끼치진 않는지,
그리고 다른 원인에 의해 혹이 발생한건 아닌지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손목 물혹은 종종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없어지거나 스스로 터져 없어지기도 합니다.
때문에 통증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거나 미용상의 문제가 없다면 특별히 치료를 받지 않으셔도 되지만
결절종에 의해 신경이나 혈관을 압박해 통증을 지속적으로 유발하거나 결절종으로 인해 손목 운동에 문제가
발생한다면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치료는 주로 비수술적인 치료가 선호됩니다.
간단하나 일시적인 치료법으로는 결절종 안에 있는 관절액을 주사기로 뽑는 것입니다.
이러한 치료의 경우 다시 재발하기 쉽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그리고 이런 비수술적인 치료를 진행하였음에도 호전되지 않거나 재발되는 경우에는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
물혹과 함께 건 또는 관절 막을 제거하는 수술적인 치료를 고려해 보실 수 있습니다.
간혹 손목에 물혹이 생긴 것 같아보여도 치료가 필요한 표피 낭종 또는 황색종일 경우도 있어 주의하셔야 합니다.
이상이 보인다면 먼저 병원을 찾아 정확히 진단을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결절종 예방을 위해 일상 속에서 한쪽 손만 무리하게 사용하기보다 양손을 번갈아 가면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컴퓨터 사용이 잦은 직장인의 경우 손목 받침대를 이용하는 것이 좋으시며 테니스, 배드민턴, 탁구, 골프와 같은 손목을
많이 쓰는 운동을 하시기 전에는 스트레칭을 충분히 하셔야 합니다.
결절종은 손목과 손에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발 쪽에도 흔히 생겨납니다.
발에 지속적인 마찰과 압박으로 혹이 점점 커져 혈관 주변의 신경을 자극하여
통증이 생겨 제대로 걷지 못하는 보행의 불균형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하셔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