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 통증이 발생하면 대부분 허리디스크를 먼저 의심하시지만 검사를 해보면
막상 허리디스크가 아닌 척추관 협착증인 경우가 있습니다.
척추관 협착증은 척추를 둘러싸고 있는 근육과 인대가 제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퇴행성 척추질환입니다.
고령 인구 증가와 오랜 좌식생활로 인하여 구부정한 자세를 유지하는 사람 많아져
이로 인한 척추관 협착증으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분들이 많아지셨습니다.
최근에는 무리한 운동과 외상으로 인해 젊은 연령층에서도 척추관 협착증으로
고통을 호소하는 분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척추는 대나무처럼 안쪽이 비었는데 그 안쪽으로 신경다발이 지나갑니다.
이 구멍이 퇴행성 변화와 같은 다양한 이유로 좁아지면서 신경이 눌려 통증이 생기는 것입니다.
보통 엉덩이에서부터 다리까지 통증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평소 허리 통증과 손, 발, 다리 등이 저린 증상이 동반한다면 척추관 협착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척추관 협착증 증상으로 다리 전체에 힘이 빠지고 마비가 된 느낌이 들기도 하며 다리가 가늘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허리 통증과 같은 기본적인 증상이 허리디스크와 비슷하다보니 허리디스크와 헷갈려하실 수 있는데
허리디스크는 척추를 구성하는 척추뼈와 척추뼈 사이의 추간판이 탈출하여 발생되는 질환으로
허리를 숙이거나 앉아 있으면 통증이 극심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에 척추관 협착증의 경우 허리를 펼 때 통증이 심하고 숙이면 오히려 편해진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두 질환 모두 자연스럽게 치유되는 질환이 아니므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조기에 발견하면 염증과 부종을 가라앉히기 위해 소염제 약물, 물리치료 등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호전을
기대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오랫동안 방치하고 치료를 받지 않은 상태의 경우 비수술적 치료로도
효과를 볼 수 없고, 좁아진 척추관을 넓혀주는 방법으로 압박된 신경을 풀어주는 수술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모든 치료는 해당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 후 결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울러 척추 질환은 치료도 중요하지만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자에 앉을 때 등을 구부정하게 앉지 않아야 하며 다리를 꼬거나 비스듬히 앉는 자세를
피하시고 평소 바른 자세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더불어 체중이 많이 나가게 되면 척추뼈와 관절에 무리를 주기에 퇴행성 변화가 가속됩니다.
그렇게 되면 증상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적정체중을 유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